파이썬으로 다시 배우는 핵심고등수학 (python)/08장 : 미분과 적분
8-1. 곡선과 그래프
아린//
2021. 3. 1. 11:23
1. 두 개의 그래프 (곡선, 꺾은선)
1) 나이에 따라 연봉이 얼마나 오르는지에 관한 그래프
- 곡선 : 연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
- 꺾은선 : 연봉이 일정하게 오르거나 내려가는 경우
- 우리가 알고 싶은 것 : 절정을 정확히 알기
① 주어진 그래프 그리기
② 차분 그래프 그리기 : 인접한 두 개의 연도에 대한 연봉의 차를 구하고 그 그래프 그리기
%matplotlib inline
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
import pandas as pd
dat = pd.read_csv('salary.csv', encoding='UTF-8')
x = dat['나이']
y = dat['연봉']
cnt = len(dat) #데이터의 개수를 세기
diff_y = [] #연봉의 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델타 y, 즉 y의 차분 구하는 명령문
for i in range(0, cnt-1):
diff_y.append(y[i+1] - y[i])
plt.plot(x[1:], diff_y) #왜 x를 첫 요소를 건너뛰고 두 번째 요소부터 그려야 하는지?
plt.grid(color='0.8')
plt.show()
2) 두 개의 그래프 차이, 즉 차분 그래프를 그리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
- 차분이 0이 되는 곳에 선을 그으면 연봉이 절정을 이루는 곳과 동일
- 차분이 0이라는 뜻 : 변화가 없음 → 연봉 그래프가 평탄한 부분
- 차분 그래프를 이용하면 정점을 확실히 알 수 있음
- 52세까지는 순탄하게 연봉이 오르는 것 처럼 보이지만, 차분 그래프를 그리면 37세 전후로 절정을 이루고,
그 후로 연봉이 늘기는 하지만 증가량은 매년 조금씩 줄고 있음을 알 수 있음